To see the desired glossary, please select the language and then the field of expertise.

    ホーム
    • フランス語
      • 小売
        • Search
          • Term
            • premier entré, premier sorti
          • Additional fields of expertise
          • Definition(s)
            • Cette expression est également très utilisée en comptabilité analytique, et d'une manière générale dans les techniques de gestion des stocks. Elle est dans ce cas souvent traduite par PEPS pour « Premier entré, premier sorti ». En pratique le produit qui est arrivé le premier dans le stock sera le premier à sortir du stock (pour être vendu, utilisé ou comptabilisé). Wikipedia - by Marie-Cécile Béal
          • Example sentence(s)
            • La méthode premier entré, premier sorti (PEPS) permet d'évaluer les sorties et les stocks de biens fongibles (interchangeables). Elle repose sur le principe d'épuisement des lots. - reseaucerta by Marie-Cécile Béal
            • Premier entré, premier sorti – FIFO (First In First Out – FIFO) : Règle de gestion des stocks dans laquelle on fait sortir en premier ce qui est rentré le plus tôt. - faq-logistique by Marie-Cécile Béal
            • Il en existe plusieurs, les plus courantes étant la méthode du premier entré, premier sorti (PEPS) et celle du dernier entré, premier sorti (DEPS) - MiMi.hu by Marie-Cécile Béal
          • Related KudoZ question
    Compare [close]
    • 朝鮮語
      • 小売
        • Search
          • Term
            • 선입 선출(법)(先入先出法)
          • Additional fields of expertise
          • Definition(s)
            • 매입순법이라고도 하며, 가장 먼저 취득된 것부터 순차로 불출하는 방법이다. 기말재고품은 최근에 취득한 것으로 보고 재고자산의 원가를 배분하는 것이다. 선입선출법에서는 기말재고품의 원가로서 최근 수입분의 원가를 적용하므로 기말재고자산의 평가액은 다른 방법에 비해 최종매입원가에 가깝게 된다. 보통은 재고자산이 그 취득순서에 따라 불출되므로 실제의 이동에 따라 원가배분을 하는 점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 물가가 상승할 때는 이 방법에 의해 원가배분을 하는 경우 비용을 낮게 평가하고, 이익과 세금을 보다 과대평가하게 한다. 보통 FIFO (피포)라고도 한다 Yahoo dictionary - by Joon Oh
          • Example sentence(s)
            • 글자 그대로, 선입선출법은 재고 자산 중에 먼저 매입한 것을 매출원가로 보는 방법이다. 선입선출법은 매입순법이라고도 불리며, 가장 먼저 취득된 것부터 순차로 판매하는 방법이다. 기말재고품은 최근에 취득한 것으로 보고 재고자산의 원가를 배분한다고 한다. 여러 단가의 재고품이 실제로는 어떤 순서로 출고되든, 장부상 먼저 입고된 것부터 순서대로 출고되는 것으로 간주하여 출고단가를 결정하는 원가주의 평가방법 이다. 따라서 재고품은 비교적 최근에 입고된 물품의 원가로 구성되며, 출고품의 가격은 일찍 입고된 물품의 원가에 의해 결정-표시된다. 그러므로 단가가 서로 다른 수종의 동일계열 재고품이 있을 경우에는 장부상의 잔고란에 종류별로 나누어져 있어야 한다. 물가가 상승할 때는 이 방법에 의해 원가배분을 하는 경비용을 낮게 평가하고, 이익과 세금을 보다 과대평가하게 한다. - One of Blog of Empas by Joon Oh
            • 선입선출법은 기초재공품을 우선적으로 가공하여 완성시킨 후에 당기착수물량을 가공한다고 가정한다. - Daum 지식 by Joon Oh
          • Related KudoZ question
  • Compare this term in: セルビア語, クロアチア語, アラビア語, ブルガリア語, カタルーニャ語, チェコ語, 中国語, ドイツ語, オランダ語, ギリシャ語, 英語, スペイン語, ペルシャ語, ヒンディー語, ハンガリー語, イタリア語, 日本語, マケドニア語, ノルウェー語, ポーランド語, ポルトガル語, ルーマニア語, ロシア語, スロヴァキア語, タイ語, トルコ語, ウクライナ語, ベトナム語

The glossary compiled from Glossary-building KudoZ is made available openly under the Creative Commons "By" license (v3.0). By submitting this form, you agree to make your contribution available to others under the terms of that license.

Creative Commons License